2024년도 얼마 남지 않았습니다^^
임신 중이거나 임신을 준비 중이신 분들에게 여러 가지 좋은 소식이 있어 가지고 왔습니다.
다가오는 2025년부터 우리나라 임신 출산 지원 제도 중 변경되는 사항들이 있습니다.
변경되는 사항들을 같이 알아보고 받을 수 있는 혜택에 대해 생각해 보시고 미리 준비하시는 시간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1) 임신 중 당뇨병 환자의 연속혈당측정기 지원 2) 난임시술 지원횟수 확대 및 본인부담률 개선 3) 난임치료 휴가 개선 4) 제왕절개분만 본인부담 면제 5) 임신. 출산진료비 바우처 태아당 100만원으로 확대 6) 임신기 근로시간 단축제도 개선 7) 배우자 출산휴가 확대 |
위와 같이 변경되어 적용되는 항목들이 있습니다.
그럼 지금부터 더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임신 중 당뇨병 연속혈당측정기 지원
연속혈당측정기는 인슐린이 췌장에서 분비되지 않아 인슐린 투여가 필요한 1형 당뇨 환자만 지원했으나, 혈당조절이 어려워 인슐린을 반드시 투여해야 하는 임신부에게도 혈당관리에 도움을 주기 위해 연속 혈당 측정기를 확대 지원하기로 하였습니다.
- 기준금액 : 현행 성인 1형 당뇨 환자와 같은 수준인 일당 1만 원, 공담부담률은 70%
- 지원기간 : 출산일이 산모마다 다름을 고려해 출산예정일로부터 15일까지
- 시행일 : 2024년 11월 이후 시행될 예정임
2) 난임시술 지원횟수 확대 및 본인부담률 개선
구분 | 현행 | 개선 |
지원기준 | 1인당 25회 | 출산당 25회 |
현재 난임시술 급여기준은 인공수정 5회, 체외수정 20회 등 난임부부당 25회로 한정되어 있으나 난임시술 지원 기준을 난임부부당에서 출산당으로 개선하였다고 합니다.
본인부담률 | 현행 | 개선 |
45세미만 | 30% | 30% |
45세 이상 | 50% | 30% |
본인부담률은 45세 이상 50% -> 30%로 낮아진다고 합니다.
3) 난임치료 휴가 개선(2025년 2월 예정)
현행 | 개선 | |
기간 | 연간 3일(1일 유급) | 연간 6일(2일 유급) |
정부지원 | 정부지원 없음 | 중소기업 근로자 2일 |
비밀유지 | 해당없음 | 사업주 비밀누설금지 의무 신설 |
4) 제왕절개분만에 대한 본인부담 면제(제왕절개 비용 전액지원)
제왕절개 수술 비용의 본인 부담금이 내년부터 전액 지원되어 본인부담금이 없어진다고 합니다.
5) 임신·출산진료비 바우처 태아당 100만 원으로 확대
다둥이(쌍둥이 이상)에 대한 임신·출산진료비 바우처를 140만원에서 태아당 100만원으로 확대되었습니다.
6) 임신기 근로시간 단축제도 개선(2025년 2월 예정)
- 임신기 근로시간 단축이란?
임신 12주 이내 또는 36주 이후의 임신 근로자는 하루 2시간의 근로시간 단축을 할 수 있습니다.
또 한 사업주는 근로시간 단축을 이유로 임금을 삭감해서는 안됩니다.
현행 | 개선 |
임신초기(12주 이내) 와 임신 말기(36주 이후) 근로시간 단축 가능 | ` 임신 12주이내 또는 32주 이후의 근로자로 확대됨 ` *고위험 임산부는 모든 임신기간중에 사용할 수 있음 |
*연차 산정시 단축 근로시간 미포함 | 단축 근로시간도 포함 |
* 고위험 임산부 : 의사의 진단을 받은 조기진통, 다태아 임신, 유산, 조산의 위험이 있는 고위험 임산부
* 연차 산정 관련은 5인 이상 사업장부터 해당
7) 배우자 출산휴가 확대(2025년 2월 예정)
현행 | 개선 | |
기간 | 10일 | 20일 |
정부지원 | 중소기업 근로자 5일 급여 지원 | 중소기업 근로자 20일 급여지원 |
사용 | 2번에 나눠 사용(분할 1회) | 4번에 나눠 사용(분할 3회) |
기한 | 출산후 90일 이내 | 출산후 120이내 사용 |

항목별로 2025년 1월부터 시작되거나 2월부터 시작되는 항목들이 있습니다.
아마도 2025년이 가까워지면 시행날짜가 정해져 나올것으로 예상되니 관심가지고 지켜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앞으로도 더욱 더 많은 항목으로 지원이 확대되어 출산 가정이 많아졌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오늘 하루도 각자의 자리에서 고생하신 모든 분들 화이팅입니다!!!